이장우, "尹 당선인, 대전 나노반도체연구원 설립․산단 조성 공감”
이장우, "尹 당선인, 대전 나노반도체연구원 설립․산단 조성 공감”
  • 여창훈 기자
  • 승인 2022.04.29 15: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장우 대전시장 후보 공약사항… 나노종합기술원도 강력한 요청
이 후보 “반도체 초강대국 실현, 대전을 글로벌 일류 경제도시로”
KAIST 부설 나노종합기술원에 들어서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국민의힘 이장우 대전시장 후보 ⓒ이장우 대전시장 후보 선거사무소국민출처 : 백제뉴스(http://www.ebaekje.co.kr)
KAIST 부설 나노종합기술원에 들어서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국민의힘 이장우 대전시장 후보 [사진/이장우 대전시장 후보 제공]

국민의힘 이장우 대전시장 후보는 29일 “KAIST 부설 나노종합기술원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10만 평 이상 규모의 ‘국가 나노반도체 종합연구원’설립 및 ‘나노반도체 산업단지’ 조성에 대해 상당히 깊은 관심과 긍정적 입장을 보였다”고 밝혔다.

나노종합기술원을 모태로 차세대 글로벌 반도체 생산을 겨냥한 나노반도체 종합연구원 설립(10만 평)과 나노반도체 산업단지 조성(100만~200만 평)은 지난 3월 이 후보가 대전발전을 위한 핵심 공약으로 제시한 것으로, 나노종합기술원도 이날 반도체 초강대국 실현과 한국형 반도체 방패 구축 방안으로 강력히 요청해 윤 당선인의 공감을 이끌어 냈다.

나노반도체 산업은 메모리 기술과 연계한 시스템 반도체, AI 반도체 및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등 4차산업혁명 가치사슬의 핵심으로, 미래 국가경쟁력의 열쇠라 할 수 있다.

2021년 기준 글로벌 반도체 시장 규모는 총 4,917억 불(한화 623조 원)로, 이미 각국은 나노반도체를 중심으로 반도체 패권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실제로 미국은 국가반도체기술연구센터를 설립하고 글로벌 시장 선점에 나섰으며, 대만은 민간협력 반도체 생태계 허브로 대만반도체연구센터(TSRI) 출범시켰다. 일본도 세계 최고 반도체 제조장비 및 소재분야 경쟁력을 바탕으로 반도체 산업 패권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중국은 2016년부터 10년간 170조 원을 투자하며 반도체 굴기를 꿈꾸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반도체 선진국임에도 세계시장의 70%(3,333억 불, 한화 422조)를 차지하고 있는 시스템반도체 분야에 극히 취약한 상황이다.

나노종합기술원이 삼성·하이닉스와 긴밀한 연구협력으로 차세대 나노반도체 기술 확보에 총력을 다하고 있지만 아직은 국내 현황 대기업 해외기술 의존 높고, 산업에 접목할 R&D 및 시설 미흡한 실정이다.

이제는 대기업·중소기업·연구기관 공동 개발 실증·상용화 및 제품화 필요한 단계로, 이를 위한 전문 연구원과 산업단지가 절실한 시점이다.

이런 이유로 윤석열 당선인은 후보 시절 ‘반도체 강국’ 공약을 직접 제시했다. 그 핵심이 바로 메모리 분야에 한정된 한국의 반도체 경쟁력을 시스템 반도체 분야로 확장할 수 있는 나노반도체 산업이다.

이 후보는 “윤 당선인께도 설명했지만 대전은 2002 나노종합팹 유치 및 나노종합기술원 설립을 통해 20년 간 기술 R&D 성과를 축적하고 있어 나노반도체 종합연구원과 나노반도체 산업단지 조성 최적지”라며 “경기도 화성 삼성반도체단지 규모의 차세대 반도체 단지가 조성되면 대전은 반도체 초강대국 실현의 핵심 도시이자 글로벌 일류 경제도시로 도약하는 획기적 계기가 될 것이다. 시장에 당선되는 즉시 산업용지 확보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